"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은 공자가 제자인 자공에게 한 말로, 유래는 논어 위령공편에 나옵니다. 기소불욕물시어인의 뜻은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도 하게 해서는 안된다"는 뜻으로, 공자 사상의 핵심인 충서(忠恕)를 표현하는 말입니다.
기소불욕물시어인에 대한 뜻과 유래 그리고 공자의 가르침을 아래서 확인해보세요!
기소불욕물시어인 지식백과: 뜻과 유래 그리고 공자의 가르침
기소불욕물시어인 한자(중국어) 사전
출처.출전: 논어 위령공편
아래 한자는 대부분 중학용 한자로 어려운 한자는 없으니 이번 기회에 정확히 한번 암기를 해보세요.
- 己 몸 기
- 所 바 소
- 不 아닐 부
- 欲 하고자 할 욕
- 勿 말 물
- 施 베풀 시
- 於 어조사 어
- 人 사람 인
기소불욕물시어인 유래와 중요성
기소불욕물시어인 유래
어느 날, 자공이 공자에게 "제가 평생 동안 실천할 수 있는 한 마디의 말이 있습니까?"라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공자는 "그것은 바로 용서의 '서(恕)'이다.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일은 남에게도 하지 말아야 한다(己所不欲勿施於人)"라고 답했습니다.
이 말은 서로 이해하는 것, 즉 서로 용서하는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입장을 헤아려 존중해줘야 한다는 가르침으로 이것은 '기소욕 시어인' (己所欲 施於人)으로도 바꿔 쓸 수 있을 것입니다.
기소불욕물시어인 중요성
따라서 "기소불욕물시어인"은 상대방을 먼저 이해하고 용서하는 것에서 시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도덕성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내가 하기 싫은 일이라면 당연히 타인도 하기 싫을 터이니 남에게 시키기 전에 앞장서서 모범을 보여야 하는 것입니다.
기소불욕물시어인 예시
공자는 "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에 대한 예시로 아래 두 가지 경우를 들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 집을 나가면 손님을 만난 것처럼 행동하라
- 백성에게 일을 시킬 때는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정성을 다하라
위 두 가지 예시는 공자의 가르침인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은 남에게 시키지 않는 것"을 잘 보여줍니다. 즉, 우리가 남을 대하는 태도는 마치 손님을 맞이하거나 제사를 지내는 것처럼 세심하고 정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소불욕물시어인 철학적 깊이
"기소불욕물시어인 己所不欲勿施於人"이라는 고사성어는 표면적으로 간단해 보일 수 있지만, 심오한 철학적 함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핵심적으로 이는 다른 사람들의 감정과 복지를 고려하고, 공감과 동정을 촉진함으로써 개인 간 상호 작용을 안내합니다. 이것은 대인 관계뿐만 아니라 도덕적인 삶과 조화로운 사회를 촉진합니다.
광고 노출 안내: 이 글에는 구글 에드센스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혹시 글을 읽는 중간 중간 나타나는 광고는 방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나에게 왜 이 광고들이 나타나는지 궁금하시면 에드센스 원리를 확인 후 개인정보를 보호해보세요!
'지식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릭백 춤 뜻과 챌린지: 아이돌들 슬릭백 챌린지 모음 시청하기 (0) | 2023.11.10 |
---|---|
고려거란전쟁 등장인물과 기본정보: 귀주대첩과 강감찬 역사 이해 (0) | 2023.11.05 |
연명의료결정제도,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및 등록방법 (1) | 2023.11.03 |
주4일제: 근무 형태의 새로운 개혁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0) | 2023.11.01 |
2024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장 이동 시 주의사항 및 교통사항 (0) | 2023.10.23 |
댓글